Top 34 광학 현미경 종류 128 Most Correct Answers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광학 현미경 종류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toplist.fordvinhnghean.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광학 현미경 종류 실체현미경, 생물현미경,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차이, 광학현미경 사용법, 현미경 원리, 광학현미경 구조, 광학현미경 가격, 광학현미경 특징

광학현미경에서는 일반적인 생물현미경 외에 위상차현미경, 간섭현미경, 형광현미경, 자외선현미경, 실체현미경, 암시야현미경, 도립현미경, 금속현미경 등이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현미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Y샘 과학교실 – 초등과학. 5학년. 6학년. 현미경의 종류. 실체 현미경. 광학 현미경
Y샘 과학교실 – 초등과학. 5학년. 6학년. 현미경의 종류. 실체 현미경. 광학 현미경


현미경의 종류와 용도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4415 ⭐ Ratings
  • Top rated: 4.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현미경의 종류와 용도 : 네이버 블로그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현미경의 종류와 용도 : 네이버 블로그 Updating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현미경 학교

이 블로그 
현미경 종류별 특징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현미경 종류별 특징
 카테고리 글

현미경의 종류와 용도 : 네이버 블로그
현미경의 종류와 용도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현미경의 종류

  • Article author: if-blog.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42679 ⭐ Ratings
  • Top rated: 3.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현미경의 종류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현미경의 종류 Updating 현미경의 종류 ■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 LM) 현미경은 일반적으로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으로 나뉩니다. 이 외에도 여러 종류의 현미경이 있지만 기본이 되는 구조와 원리를 가지고 있는 현미경이 광..
  • Table of Contents:

교육부 공식 블로그

현미경의 종류 본문

티스토리툴바

현미경의 종류
현미경의 종류

Read More

현미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17422 ⭐ Ratings
  • Top rated: 4.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현미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현미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Updating
  • Table of Contents:

역사[편집]

원리[편집]

구조[편집]

사용법[편집]

종류[편집]

사진[편집]

현미경의 기계부[편집]

같이 보기[편집]

참고 문헌[편집]

외부 링크[편집]

현미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미경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ad More

광학 현미경 종류

  • Article author: contents.kocw.net
  • Reviews from users: 8570 ⭐ Ratings
  • Top rated: 5.0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광학 현미경 종류 현미경은 1665년 Robert Hook가 처음 사용한 이래 성능이 계속 발전하여. 현재에는 고성능 광학현미경은 물론 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High Voltage.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광학 현미경 종류 현미경은 1665년 Robert Hook가 처음 사용한 이래 성능이 계속 발전하여. 현재에는 고성능 광학현미경은 물론 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High Voltage.
  • Table of Contents:
광학 현미경 종류
광학 현미경 종류

Read More

Çö¹Ì°æÀÇ Á¾·ù¿Í ±¤ÇÐÇö¹Ì°æÀÇ ±¸Á¶ ¹×»ç¿ë¹ý

  • Article author: www.thinkzon.com
  • Reviews from users: 30650 ⭐ Ratings
  • Top rated: 3.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Çö¹Ì°æÀÇ Á¾·ù¿Í ±¤ÇÐÇö¹Ì°æÀÇ ±¸Á¶ ¹×»ç¿ë¹ý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Çö¹Ì°æÀÇ Á¾·ù¿Í ±¤ÇÐÇö¹Ì°æÀÇ ±¸Á¶ ¹×»ç¿ë¹ý Updating Çö¹Ì°æ ½Ç½À½Ä¹°Ã¼ÀÇ ÇüŸ¦ È®ÀÎÇϴµ¥ À־ À°¾ÈÀ̳ª È® ´ë°æÀ¸·Î¸¸ °üÂûÇÏ´Â °ÍÀº ÇѰ谡 ÀÖ¾î º¸´Ù ÀÚ¼¼ ÇÑ ±¸Á¶¸¦ ÆÄ¾ÇÇϱâ À§ÇØ »ç¿ëµÈ °ÍÀÌ Çö¹Ì°æÀÌ´Ù Çö¹Ì°æÀº 1665³â robert hook°¡ óÀ½ »ç¿ëÇÑ ÀÌ ·¡ ¼º´ÉÀÌ °è¼Ó ¹ßÀüÇÏ¿© ÇöÀç¿¡´Â °í¼º´É ±¤ÇÐÇö ¹Ì°æÀº ¹°·Ð °íÀü¾Ð Åõ°úÀüÀÚÇö¹Ì ºÐÀÚ±¸Á¶¸¦ È®ÀÎÇÒ ¼ö ÀÖ´Â ¿øÀÚÇö¹Ì°æ atomic microsco¸®Æ÷Æ®, ÀÚ±â¼Ò°³¼­, °è¾à¼­, ÆÄ¿öÆ÷ÀÎÆ®¹è°æ, °¢Á¾¹®¼­, À̷¼­, ¸®Æ÷ƮǥÁö, ¹æÅë´ë, ³í¹®, ±âÃâ¹®Á¦, ¼÷Á¦ÀÚ·á, À̹ÌÁö»çÁø, resume, coverletter, ppt, powerpointer, contract, ÀÏ·¯½ºÆ®À̹ÌÁö
  • Table of Contents:
Çö¹Ì°æÀÇ Á¾·ù¿Í ±¤ÇÐÇö¹Ì°æÀÇ ±¸Á¶ ¹×»ç¿ë¹ý
Çö¹Ì°æÀÇ Á¾·ù¿Í ±¤ÇÐÇö¹Ì°æÀÇ ±¸Á¶ ¹×»ç¿ë¹ý

Read More

Çö¹Ì°æÀÇ Á¾·ù, Microscopes, Biological Microscope, Polarized Microscope, Fluorescent Microscope, Metallurgical Microscope, Phase Contrast Microscope, DIC Microscope, Video Microscope

  • Article author: www.zast.net
  • Reviews from users: 12167 ⭐ Ratings
  • Top rated: 4.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Çö¹Ì°æÀÇ Á¾·ù, Microscopes, Biological Microscope, Polarized Microscope, Fluorescent Microscope, Metallurgical Microscope, Phase Contrast Microscope, DIC Microscope, Video Microscope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Çö¹Ì°æÀÇ Á¾·ù, Microscopes, Biological Microscope, Polarized Microscope, Fluorescent Microscope, Metallurgical Microscope, Phase Contrast Microscope, DIC Microscope, Video Microscope Updating
  • Table of Contents:
Çö¹Ì°æÀÇ Á¾·ù, Microscopes, Biological Microscope, Polarized Microscope, Fluorescent Microscope, Metallurgical Microscope, Phase Contrast Microscope, DIC Microscope, Video Microscope
Çö¹Ì°æÀÇ Á¾·ù, Microscopes, Biological Microscope, Polarized Microscope, Fluorescent Microscope, Metallurgical Microscope, Phase Contrast Microscope, DIC Microscope, Video Microscope

Read More

광학 현미경 종류

  • Article author: www.msk.or.kr
  • Reviews from users: 7306 ⭐ Ratings
  • Top rated: 3.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광학 현미경 종류 (Phase-contrast)현미경과 형광(fluorescence) 현미경의 4종류로 구분이 된 … 광학현미경은 가장 기본적인 현미경으로 시료를 통과한 빛을. 바로 보는 형태이다.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광학 현미경 종류 (Phase-contrast)현미경과 형광(fluorescence) 현미경의 4종류로 구분이 된 … 광학현미경은 가장 기본적인 현미경으로 시료를 통과한 빛을. 바로 보는 형태이다.
  • Table of Contents:
광학 현미경 종류
광학 현미경 종류

Read More

나노 물질도, 피부 속도 꿰뚫어 본다! 광학현미경의 끝없는 도전

  • Article author: www.ibs.re.kr
  • Reviews from users: 42926 ⭐ Ratings
  • Top rated: 3.0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나노 물질도, 피부 속도 꿰뚫어 본다! 광학현미경의 끝없는 도전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나노 물질도, 피부 속도 꿰뚫어 본다! 광학현미경의 끝없는 도전

    Updating

  • Table of Contents:

주메뉴

주메뉴

뉴스센터


나노 물질도, 피부 속도 꿰뚫어 본다! 광학현미경의 끝없는 도전
나노 물질도, 피부 속도 꿰뚫어 본다! 광학현미경의 끝없는 도전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fordvinhnghean.com/blog.

현미경의 종류와 용도

현미경의 종류와 용도

1. 광학현미경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라고 부르는 2조의 렌즈를 조합하여 미소한 물체까지 확대하여 관찰하기 위한 광학기계. 대물렌즈로 확대한 물체의 실상을 접안렌즈로 더욱 확대하여 관찰한다. 16세기 후반에 Z. Jansen이 발명하였다. 전자선을 이용한 전자현미경에 대해 파장이 약 400~700μm의 가시광을 사용한다. 확대배율은 대물렌즈가 1~100배 정도이고, 접안렌즈가 5~20배 정도, 종합배율은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배율을 곱한 것으로 2,000배가량 된다. 전자현미경에 비교하여 확대배율, 분해능에서는 떨어지지만 생물을 건조시키지 않고 산 채로 관찰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분해능은 최소 0.2μm 정도이다. 광학현미경에서는 일반적인 생물현미경 외에 위상차현미경, 간섭현미경, 형광현미경, 자외선현미경, 실체현미경, 암시야현미경, 도립현미경, 금속현미경 등이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현미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1)일반광학현미경(light or bright-field microscope)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을 집속렌즈가 빛을 모아서 시료에 조사하면 대물렌즈에서 일차확대상을 만든후 대안렌즈에서 최종 배율(확대된상)을 결정하여 눈으로 관찰할 수 있게된다.

대안렌즈는 대개 10배의 배율을 갖고, 대물렌즈는 보통 4, 10, 25, 40, 100배 렌즈중에서 선택을 할수 있으므로 만일 10배의 대물렌즈로 시료를 관찰한다면 최종 관찰배율은 10×10=100 즉 100배의 배율이 된다.

2)암시야 현미경 (한외현미경), ultramicroscope

주로 미립자나 혈액속의 지방 입자를 관찰하는데 사용된다. 어두운 방에 빛이 들면 먼지가 빛나 보이는 현상을 볼수 있는데 후방의 배경이 되는 빛이 입자에 닿으면 빛이 산란되면서 미립자의 위치,형태, 크기를 알수 있게 된다. 참용액의 미립자는 작기 때문에 빛의 진로가 보이지 않으나 콜로이드 입자의 크기는 가시광선의 파장과 비슷하기 때문에 빛의 산란이 일어나 빛의 진로가 보이는 틴들 현상(Tyndall phenomenon )을 이용한 원리이다

3)위상차 현미경 ( 位相差顯微鏡, phase-contrast microscope)

보통의 현미경은 시료의 명암이나 빛깔의 차이에 의해서 관찰하지만 살아있는 세포나 투명한 물체의 경우 명암이나 빛깔의 차이가 아닌 굴절률의 차이를 이용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현미경이다.

회절된 광선과 회절되지 않은 광선사이에 간섭현상을 일으켜 그 위상차를 명암의 차이로 만들어 물체를 식별하게 만드는 원리이다. 1935년 네덜란드의 F 제르니케(Zernike, Frits )에 의해서 발명되어 1953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4)간섭현미경 (干涉顯微鏡, interference microscope )

물체가 빛을 지연시키는 현상을 이용하여, 표본을 투과한 물체광에 광원에서 분리된 간섭광을 겹치게 하여 광파장에 대한 간섭현상으로 투명한 표본에서도 그 구조가 뚜렷이 나타나게하는 원리를 이용, 물체의 미세구조나 요철의 변화, 위상변화등을 관찰하여 정량측정을 하는 현미경.

5) 편광현미경(Polarized Microscope)

여러가지 물체가 혼합된 상태의 견본에서 각 물체마다 빛의 진동하는 방향이 다른점을 이용하여 어떤각도에서 한가지 물질만을관찰한다거나 혹은 어떤물질이 혼합되어있는가를 알아내는데 사용된다. 광물의 결정이나 동물의 뼈 단면, 근육조직, 글리코겐 같은 표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방성 구조를 쉽게 관찰 할 수 있다.

[원리]

일반광선은 여러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직진하는데 이빛이편광판(Polarizer)에닿으면 어느한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편광판을 통과하게된다. 이 통과된 빛이 관찰시료를 통과하거나 반사될때는 물체의 특성에 따라 굴절 또는 반사하는 각도가 다르게 되어Analyzer를 회전시키면서 물체를 보면 어느일정한각도에서만 그 물체가 보이게 된다.이 때 이각도를 읽으면 보이는 물체가 무엇인지를 알수있게 된다. 실제로는 시료를 올려놓는 Stage를 회전시키면서 보게되며 Stage에각도표시가되어있다.

6)형광현미경(fluorescent microscope,螢光顯微鏡)

파장이 짧은 자외선을 시료에 비추면 형광을 발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시료에 형광물질(형광색소)을 처리한 후 관찰하는 방법으로 병원에서 면역검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7)금속 현미경 ( 金屬顯微鏡, metallurgical microscope)

금속 시편을 채취하여 관찰면을 균일하게 연마하고 미세한 조직을 관찰함으로써 그 곳에 나타나는 상, 결정립의 형상 및 분포상태, 크기 또는 결함 등을 측정하여 조직과 기계적 성질, 열처리 등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현미경이다. 금속 시편의 연마(예비연마- 거친연마-정연마) , 부식 (Etching) 과정을 거쳐 금속의 미세 표면을 관찰하게 된다.

2.전자 현미경

광선 대신 전자선을 이용하고 광학렌즈 대신 가변전자장을 이용한 전자렌즈를 사용하여 미세한 구조체의 확대상을 얻는 장치. 원리적으로는 광학현미경과 유사하다. 전자현미경이라고 하면 보통은투과형 전자현미경을 말한다. 전자파는 가시광보다 훨씬 파장이 짧기 때문에 광학현미경에서는 도달할 수 없는 고분해능(현재 0.2nm 이하)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자현미경의 해상력이향상됨에 따라 초박절편 제작이나 전자염색기술도 향상되고이에 의해 바이러스, 세균 그리고 고등생물 세포의 미세구조연구, 나아가 DNA나 RNA분자 등 생체고분자구조의 연구가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새로운 연구분야가 열렸다. 전자선의 투과성은 대단히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투과형 전자현미경은 매우 얇은 시료밖에 관찰할 수 없다.

1)투과전자현미경(TEM)

투과전자현미경 에서는 고에너지를 갖는 전자선이 전자렌즈계를 거쳐 시료를 통과하여 형광판에 상을 맺게 되므로 그 시료는 극히 얇아야 된다는 것을 전제조건으로 하고 시료의 밀도, 두께등의 차이에 따른 명암(contrast)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시료에 도달하는 전자선을 회절시켜 회절상을 얻을 수 있으므로 원소내부의 정보도 얻을 수 있다.

2) 주사전자현미경(SEM)

주사 전자현미경은 투과전자현미경과 비교하여 상을 얻는 방법이 아주 달라 전자선이 시료면위를 면상으로 주사(Scanning) 할 때 시료에서 발생되는 여러거지 신호중 그 발생확률이 가장 많은 이차전자(Secondary Electron) 또는 반사전자(Backscattered Electron)를 신호원으로 CRT(Chthode Ray Tube)상에 시료와 동시에 주사시켜 한 면(Frame)의 화면을 만든다. 따라서 주사전자현미경에서는 주로 시료표면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시료 크기 및 준비에 크게 제약을 받지 않는다.

※ 투과전자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의 차이점

현재 이 두종류의 전자현미경은 각기 다른목적으로 발전되고 사용되어져 왔으나 투과형 전자현미경의 주사형 전자현미경에 비해 그 구조상 복잡성과 운전이 쉽지 않은 점, 가격이 비싼점등 때문에 주사전자현미경이 그 보급률에서는 앞서가고 있다. 응용에 있어서 투과 전자현미경은 금속, 세라믹, 반도체, 고분자합성체 등의 재료분야, 의학등의 생체시료 조직관찰에 주로 사용되고 주사전자 현미경은 거의 모든분야에서 광학현미경의 영역을 커버하며 이에 분석장비를 추가하여 분석장비로써의 영역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왼쪽) 초파리의 눈을 SEM으로 찍은 사진.

오른쪽) 초파리의 눈을 0.05mm로 얇게 짤라 TEM으로 찍은 사진.

출처: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지식iN

사진출처: http://photo.naver.com/view/2010011500243264711

http://blog.naver.com/ms_shop?Redirect=Log&logNo=40090591916

http://blog.naver.com/nstdaily?Redirect=Log&logNo=150012922764

현미경의 종류

현미경의 종류

■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 LM)

현미경은 일반적으로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으로 나뉩니다. 이 외에도 여러 종류의 현미경이 있지만 기본이 되는 구조와 원리를 가지고 있는 현미경이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입니다. 광학 현미경은 빛 중에서 우리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을 이용하며, 전자 현미경은 전자빔을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하는 현미경입니다.

빛이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하는 성질을 이용한 광학 현미경에 사용되는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는 모두 볼록렌즈입니다. 볼록렌즈는 가까이에 있는 물체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광학 현미경에서도 볼록렌즈를 이용합니다. 접안렌즈와 대물렌즈의 위치와 내부 구조는 다르지만 물체의 모습을 확대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는 두 렌즈가 같습니다. 광학 현미경이 얼마나 확대해서 보여 줄 수 있는가를 말해 주는 배율은 대물렌즈의 배율과 접안렌즈의 배율을 곱해서 말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대물렌즈로 100배를 확대할 수 있고 접안렌즈로 10배를 확대할 수 있으면 물체를 1000배로 확대해서 볼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생물 현미경

의학 및 생물학 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현미경으로, 물체를 통과한 빛이 두 개의 렌즈를 지나면서 굴절되어 물체의 모습이 확대되어 보이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생물 현미경과 관찰 사진(미크라스테리아스-훈장말 일종)(출처: 에듀넷)

우리가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생물 현미경은 접안렌즈, 대물렌즈, 경통, 재물대, 조동나사, 미동나사, 조리개, 광원 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접안렌즈는 우리가 직접 눈으로 들여다보는 부분을 말합니다. 접안렌즈도 물체를 확대해서 보여 주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는 배율이 다른 렌즈로 바꿔 끼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물렌즈는 우리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를 확대해서 보여 주는 역할을 하는 렌즈로, 보통 하나의 현미경에서 배율이 다른 대물렌즈를 3~4개 정도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배율이 다른 대물렌즈들은 회전판에 붙어 있어, 대물렌즈의 배율을 바꾸고 싶을 때는 회전판을 돌리면 됩니다. 경통은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를 이어주는 둥근 관을 말합니다. 경통의 위쪽에는 접안렌즈가, 아래쪽에는 대물렌즈가 있습니다.

대물렌즈의 아래쪽에는 재물대가 있습니다. 재물대는 현미경으로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를 올려놓는 곳으로, 프레파라트를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클립과 빛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있습니다. 재물대와 대물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라 물체가 또렷하게 보이기도 하고, 흐리게 보이기도 하는데, 재물대의 높낮이를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조동나사와 미동나사입니다. 조동나사를 돌리면 재물대의 움직임이 눈으로 보일 정도로 재물대가 위로 올라가거나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물체의 모습을 찾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조동나사를 이용하여 대강의 물체 모습을 찾고 난 후에 미동나사를 돌리면 우리 눈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재물대가 조금씩 움직이게 되어, 접안렌즈로 보이는 물체의 모습을 또렷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광학 현미경의 한 종류인 생물 현미경은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물체를 통과하여 렌즈로 들어오는 빛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조리개와 광원 광치 혹은 반사경이 있습니다. 조리개는 보통 재물대 아래쪽에 있어, 재물대에 뚫려있는 구멍으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광원 장치는 전원을 연결하여 재물대에 올려진 물체 쪽으로 빛을 보내는 장치이며, 반사경은 현미경 주변의 빛을 재물대 쪽으로 모아 주는 역할을 하는 장치입니다.

광원 장치에 의해 표본(관찰할 물체)에 공급된 빛은 표본을 지나 대물렌즈를 통과하면서 확대된 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확대된 상은 경통을 지나 접안렌즈를 통과하면서 한번 더 확대되어 우리 눈에 도달하게 됩니다. 즉,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에 의해 두 번 확대된 상이 우리 눈에 보이게 되는 것이지요. 이 때 현미경으로 관찰한 물체가 렌즈와 멀리 떨어져 있으면 거꾸로 된 상이 보일 수도 있으므로 렌즈와 프레파라트 사이의 거리를 최대한 가깝게 해 주고 관찰해야 합니다.

상을 관찰하는 데 다소 어둡다고 느껴지면,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와 광원 장치로 조절해 주면 됩니다. 조리개를 많이 열어 주면 빛의 양이 많아지고, 적게 열어 주면 빛의 양이 적어지게 됩니다. 광원 장치를 이용하거나 좀 더 밝은 곳에서 실험을 해도 됩니다. 광원 장치 대신 반사경이 달린 현미경도 있습니다. 반사경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을 현미경 표본으로 반사시켜 주는 거울로 반사경이 달린 현미경은 밝은 곳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상이 흐릿하다면 초점을 조절해 주어야 합니다. 이때는 정확하고 미세하게 움직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미동 나사를 사용합니다. 조동나사는 관찰하고자 하는 상을 먼저 대강 찾을 때 사용하는 것이므로 조동나사로 상을 찾은 다음에는 미동나사를 사용하여 초점을 맞춰 줍니다.

실체 현미경

실체 현미경은 생물 현미경과는 조금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광원 장치나 반사경이 재물대 아래에 있어서 빛이 물체의 아래에서 올라오도록 되어 있는 생물 현미경과는 달리, 실체 현미경은 광원 광치가 물체 위에 있어서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한 빛이 렌즈를 통과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즉, 실체 현미경에서는 물체를 통과한 빛이 아니라 물체 표면에서 반사된 빛이 렌즈를 지나면서 굴절되는 것입니다. 실체 현미경은 왼쪽과 오른쪽, 두 세트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어 입체감 있게 볼 수 있기 때문에 조립, 해부 등 세심한 주의를 요구하는 데 사용합니다.

▲ 실체 현미경과 관찰 사진(말벌)(출처: 에듀넷)

위상차 현미경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은 물체의 밝고 어두움이나 색깔의 차이를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합니다. 만약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가 투명하다면 일반적인 광학 현미경으로는 그 구조를 잘 관찰할 수 없습니다. 이 때 사용하는 현미경이 위상차 현미경입니다. 위상차 현미경은 색이 없고 투명한 시료라도 그 내부의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 특수한 현미경입니다. 관찰하고자 하는 시료를 따로 염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위상차 현미경은 살아있는 세포에 들어 있는 작은 기관을 관찰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 위상차 현미경과 관찰 사진(피시움-바이러스 일종)(출처: 에듀넷)

편광 현미경

편광 현미경은 광물의 성질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현미경입니다. 얇게 만든 광물이나 암석 조각에 한 방향으로만 진동하는 빛을 통과시켜서 관찰합니다. 편광 현미경은 광물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암석의 구조를 관찰하고 암석을 분류하는 데 사용됩니다.

▲ 편광 현미경과 관찰 사진(화강섬록암)(출처: 에듀넷)

■ 전자현미경(Electron Microscope, EM)

광학 현미경은 선명하면서도 크게 보는 능력에 한계가 있습니다. 세포와 같이 작은 물체를 관찰할 수는 있지만 그보다 더 작은 물체를 확대하기는 어려운데, 이는 빛이 가지고 있는 성질과 고배율의 렌즈를 제작하기가 어려운 점 때문입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세포보다 더 작은 물체를 관찰할 수 있는 새로운 현미경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만들어진 것이 전자 현미경입니다.

1926년 독일의 한스 부쉬(Hans Busch, 1884-1973)는 움직이고 있는 전자가 자기장을 지나갈 때 전자의 운동 방향이 휘어지는 것을 밝혔습니다. 이 이론은 빛이 렌즈를 만나 굴절하는 것처럼 전자의 운동 방향이 자기장에 의해 휘어진다고 하여 전자의 자기장에 의한 렌즈 작용으로 불리었고, 전자가 지나가는 자기장을 만드는 장치를 전자 렌즈라고 하였습니다. 바로 이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전자빔이 전자렌즈를 통과하는 동안 휘어지는 현상을 이용한 전자 현미경이 발명되었습니다.

전자 현미경은 광학 현미경에서 사용하는 빛(가시광선)을 이용하지 않고 전자를 이용하여 물체를 관찰하는 현미경입니다. 전자를 이용해서 물체를 관찰하게 되면 더 높은 배율로, 더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렌즈를 이용해서 물체를 확대한다는 점에서는 광학 현미경과 유사하지만, 전자 현미경은 광학 현미경처럼 유리로 된 렌즈가 아니라 자기장을 만들 수 있는 전자석을 이용해서 만든 전자렌즈로 물체를 확대한다는 점에서 광학 현미경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렇게 전자를 이용해서 물체를 확대시켜 주는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면 머리카락 굵기의 1/10,000 정도까지 작은 물체도 볼 수 있습니다.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면 물체의 표면의 모습, 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입자들의 모양과 크기, 물체를 구성하는 물질의 종류와 상대적인 양, 물체 내에 원자들이 늘어선 모양 등을 알 수 있습니다. 아주 작은 물체까지도 확대해서 보여 주는 전자 현미경은 과학이 발전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작은 나노의 세계는 우리가 볼 수도 만질 수도 없었지만 현미경이 발전하면서 보는 것은 물론 원자 하나하나를 조작할 수도 있게 되었습니다.

주사 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주사 전자 현미경은 가시광선으로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표면으로 전자빔을 쏜 다음, 표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전자빔을 통해 얻은 이미지를 컴퓨터로 재구성하여 물체(시료)의 표면을 3D로 보여 줍니다. 그러나 시료의 색은 볼 수 없습니다.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전자 현미경 사진은 이해를 높이기 위해 염색을 한 것입니다.

▲ SEM과 관찰 사진(적혈구와 백혈구)(출처: 에듀넷)

투과 전자 현미경(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높은 전압의 전자 빔을 쏘아 얇게 자른 생물의 조직을 투과하게 함으로써 물체의 모습을 수십만 배 이상으로 확대하여 관찰할 수 있는 투과 전자 현미경은 주사 전자 현미경과는 달리 시료의 얇은 단면을 볼 수 있습니다. 전자를 투과시켜서 관찰하기 때문에 관찰을 하고자 하는 물체를 천분의 1 밀리미터 이하로 얇게 자르거나, 전자가 투과할 수 있는 필름에 얇게 바르기도 합니다. 물체가 전자를 투과해야 하기 때문에 투과 전자 현미경의 중간 부분에 관찰하고자 하는 시료를 놓게 됩니다.

▲ TEM과 관찰 사진(적혈구)(출처: 에듀넷)

[자료출처: 에듀넷]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실체 현미경

입체 현미경

현대의 입체 현미경 광학 디자인.

A – Objective B – Galilean telescopes (rotating objectives) C – Zoom control D – Internal objective E – Prism F – Relay lens G – Reticle H – Eyepiece – Objective- Galilean telescopes (- Zoom control- Internal objective- Prism- Relay lens- Reticle- Eyepiece

현미경(顯微鏡, microscope)은 눈으로는 볼 수 없을 만큼 작은 물체나 물질을 확대하여 관찰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이라 하면 광학 현미경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대물렌즈, 접안렌즈, 조명 장치 따위로 된 광학 현미경 외에 금속 현미경, 위상차 현미경, 편광 현미경, 적외선 현미경, 자외선 현미경, 전자 현미경 등이 있다. 제1세대 광학 현미경, 제2세대 전자 현미경, 제3세대 원자 현미경으로 발전했다.

역사 [ 편집 ]

현미경에 관한 기록은 AD 1000년경 그리스와 로마시대의 렌즈의 사용때부터이다. 미세한 사물을 확대하기 위하여 렌즈를 사용하였지만 현재로서는 그 기원을 밝히기에는 기록이 부족하다. 다만 현재의 현미경과 같은 구조를 지닌 현미경(Multiple lens)을 발명한 사람은 1590년대의 네덜란드인 얀센(Zacharias Jansen)과 John Lipperhey이다. 당시의 발명품은 주로 해양탐사를 위해 사용되어 그 형태는 망원경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이후에 현미경 기술에 지대한 발전을 미친것이 바로 렌즈의 가공 기술인데 반세기 후의 현미경은 17세기 네덜란드인 안토니 판 레이우엔훅(Anthony van Leeuwenhoek :1632 ~ 1723)와 영국인 로버트 훅 (Robert Hooke :1635 ~ 1703)에 의해 현재의 현미경의 모태가 되었으며 이들은 짧은 초점거리(焦點距離, focal length – 렌즈의 중심축과 초점이 맺히는 부분까지의 거리)를 지닌 렌즈가 배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들은 또한 순도가 높은 석영을 가공하여 유리를 만들어 렌즈를 제조하였으며 현미경 화상을 불명확하게 만드는 색수차(chromatic aberration – 빛이 지니고 있는 각각의 고유한 파장 때문에 생기는 현상)도 발견하게 된다. 색수차에 관해서는 다음에 나오는 렌즈의 특성에서 설명되어 있다.

1758년 존 달라드 (John Dollard)는 색수차 현상을 제거시킨 색지움 렌즈(achromatic lens)를 특허 신청했으며 1930년대까지 대부분의 현미경에서 achromatic lens를 사용하게 된다. 17세기 이후 1882년부터 독일의 광학 기술자인 칼자이스(Carl Zeiss)가 렌즈 가공기술을 개발하면서부터 현미경의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의학,재료,금속,신소재,환경등 수많은 분야에서 현미경이 쓰여져 과학과 의학분야에서 눈부신 활약을 하게 된다. 최근에는 반도체, 신소재 분야에서 표본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측정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원리 [ 편집 ]

현미경은 원래 2개의 렌즈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물렌즈는 초점거리가 극히 짧은 렌즈이며 물체가 확대된 실상을 만들고, 접안렌즈는 그것을 보는 확대경이다. 대물렌즈는 물체를 대한다고 해서 대물렌즈이고, 접안렌즈는 눈과 접해 있다 하여 접안렌즈라고 한다. 대물렌즈와 접안렌즈는 1개의 원통의 양단에 장치되며, 그 원통의 길이는 기계통 길이라고 불린다. 현미경의 배율은 대물렌즈의 배율과 접안렌즈의 배율을 곱하여 셈할 수 있으며, 그 배율의 수치는 렌즈에 새겨져 있다.

현미경의 능력은 그 배율과 식별할 수 있는 최소의 간격, 즉 분해능으로 결정된다. 이 크기는 빛의 회절에 의해 결정되며, 분해능(d)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d = 0.61 λ n sin ⁡ α {\displaystyle d=0.61{\frac {\lambda }{n\sin \alpha }}}

이 중 n은 굴절률(refractive index)이고, λ는 사용하는 광선의 파장이다. α는 대물렌즈에 입사하는 광선과 렌즈의 광축의 최대각이다. 또한 여기서 n sin ⁡ α {\displaystyle n\sin \alpha } 는 개구수(numerical aperture)라고 하며, 대물렌즈의 원통에 배율과 함께 새겨져 있다.

현미경은 확대율이 크기 때문에 상이 어두워서 특별한 조명장치가 필요하다. 생물 표본 등의 투과성이 있는 물체에 대해서는 재물대 밑에 집광렌즈를 두어 투과조명을 하게 마련이지만 쇠붙이 등의 불투명한 표본인 경우에는 대물렌즈를 집광렌즈에 대응하여 반사조명을 하게 된다.

구조 [ 편집 ]

경통 –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를 연결하는 원통이며 대물렌즈로 들어오는 빛이 지나가는 통로이다.

조동나사 – 경통 또는 재물대를 위아래로 크게 움직이며 상을 찾는데 사용된다. 프레파라트와 대물렌즈 사이를 조절한다.

미동나사 –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때 사용된다.

접안렌즈- 눈으로 들여다보는 렌즈로 저배율일수록 길이가 길다. 경통의 위쪽에서 빼어 교환한다.

대물렌즈 – 프레파라트에 접하는 렌즈로 저배율일수록 길이가 짧다. 회전판을 돌려서 교환한다.

회전판 – 보통 대물렌즈가 세 개일 경우 배율을 바꿀 때 사용한다.

재물대 – 프레파라트를 올려 놓는 판으로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어 빛이 통과된다.

조리개(집광기) – 렌즈로 들어오는 빛의 양과 조리개 구멍의 크기를 조절하여 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클립 – 재물대 위에 있으며 프레파라트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장치이다.

반사경 – 빛을 반사시켜 대물렌즈로 보내는 거울 역할을 한다. 한 쪽은 평면거울, 다른 쪽은 오목거울로 되어 있다. 거울 대신 전등으로 대체하기도 한다.

프레파라트 – 관찰하려는 재료를 슬라이드글라스와 커버글라스 사이에 넣어 만든 표본이다.

사용법 [ 편집 ]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접안 렌즈를 들여다보면서 시야가 가장 밝게 보이도록 반사경을 움직인다. 프레파라트를 재물대 위에 올려 놓고, 클립으로 슬라이드 글라스를 고정시킨다. 옆으로 보면서 조동나사를 돌려 재물대를 위로 올린다. 이어서 접안 렌즈를 들여다보면서 재물대를 천천히 내려 가며 선명하게 보이는 곳에서 멈춘다. 미동나사를 이용하여 더 자세히 초점을 맞춘다. 초점이 안 맞으면 대물렌즈를 바꾸어 초점을 맞추어 본다. 선명하게 보일 때 프레파라트를 조심스럽게 움직여 관찰할 곳을 찾는다.

종류 [ 편집 ]

현미경은 기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사용 광선에 따른 분류 [ 편집 ]

위상차현미경 [ 편집 ]

이 부분의 본문은 이 부분의 본문은 위상차현미경 입니다.

위상차현미경은 굴절률이나 두께의 변화가 있는 무색의 투명 표본을 농담(濃淡)의 분포에 대한 상(像)으로서 관찰할 수 있으며, 염색 등의 번거로운 처리가 덜 필요하다.

이 장치에는 집광렌즈의 물체측 초점에 도넛 모양의 조리개를 두어 대물렌즈의 상측(像側) 초점에 생기는 조리개의 상에 1/4파장의 광로차가 나타나는 위상판(位相板)이 놓여 있다. 표본을 그냥 지나온 빛은 이 위상판을 통과하여 표본에서 굴절 혹은 회절된 빛은 위상판의 외부를 지나므로 양자 사이에 생긴의 위상차에 의하여 농담의 상을 얻게 된다

실체현미경 [ 편집 ]

실체현미경은 외부 광원에 의해 반사된 상(像)으로서 관찰할 수 있으며, 해부, 수술 중의 외부 구조를 관찰하는 데 사용된다. 배율은 10~100배 정도로 세포내부의 구조를 관찰하는 데에는 적절하지 않다.

사진 [ 편집 ]

연구실 현미경

연구실 쌍안 현미경

양안 현미경

양안 현미경

현미경 대물렌즈

현미경 대물렌즈

현미경 대물렌즈

현미경 접안렌즈

현미경 계측 접안렌즈

양안 현미경 접안렌즈

현미경 접안렌즈

현미경 접안렌즈

현미경의 기계부 [ 편집 ]

같이 보기 [ 편집 ]

참고 문헌 [ 편집 ]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 편집 ]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광학 현미경 종류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실체현미경, 생물현미경,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차이, 광학현미경 사용법, 현미경 원리, 광학현미경 구조, 광학현미경 가격, 광학현미경 특징

See also  Top 30 고양이 수명이 짧은 이유 1160 Votes This Answer

Leave a Comment